이더리움(ETH)은 비트코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암호화폐로, 최근 폭락전 이더리움은 상승도 하지 못한 채 하락을 했습니다. 많은 사람들이 이더리움이 알트대장으로 부르고 있지만, 명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과연 이번 3월 이후 금리 인하 시점에 맞춰 알트 대불장이 온다면 이더리움이 과연 1500만원 이상 갈 수 있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이더리움 가격 변동성
이더리움은 출시 이후 꾸준한 성장을 이어왔으며, 많은 상승을 이어왔습니다. 하지만 요즘 코인의 종류가 너무 많고 , 솔라나 리플 같은 코인은 크게 상승하는 반면 이더리움은 상승하지 못했습니다. 하지만 모두가 원하는 알트코인 대불장이 오려면, 알트대장 이더리움의 상승이 있어야만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.
이더리움 주요 가격 변동
- 2015년: 이더리움 출시, 1 ETH = 약 1,500원
- 2017년 강세장: 1 ETH = 170만 원 돌파
- 2021년 강세장: 1 ETH = 600만 원 이상 상승
- 2022년 약세장: 1 ETH = 100만 원 이하 하락
- 2024년 : 1 ETH = 400~500만 원대 거래 중
- 2025년 : 1 ETH = 280만원
이더리움에 투자하는 분들이 많을텐데요. 계엄빔이라고 불리는 하락보다 현재 더 많이 떨어진 상태이지만 , 이더리움 상승이 없다면, 다른 알트코인의 상승은 없을 겁니다. 현재 하락이 크지만 트럼프 재단의 이더리움 매집 , 대형 기관들의 이더리움 매집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 또한 거래소에 남아있는 이더리움의 수량이 역대 최저를 갱신하고 있습니다. 이런 이유라면 꽤 많이 올라와서 조정을 받고 있는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을 투자하는게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.
🔹 2025년 이더리움 가격 상승 요인
✅ 1. ETF 승인 가능성
- 최근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된 만큼,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도 점점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.
- 기관 투자자의 유입이 증가하면,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.
✅ 2. 이더리움 2.0 완전 전환 & 네트워크 업그레이드
- 스테이킹 도입: ETH 2.0 전환으로 인해 스테이킹 물량이 늘어나면서, 시장에 나오는 공급량이 줄어든다.
- 확장성 개선: 레이어2 솔루션과 샤딩 기술이 도입되면, 더 많은 dApp이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사용할 가능성이 커진다.
✅ 3. 기관 투자 확대
- 블랙록, 피델리티 등 대형 금융 기관들이 이더리움 투자 상품을 개발 중입니다.
- 만약 이더리움 ETF가 승인되면, 기관의 자금이 대거 유입될 가능성이 있고,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로 비트코인 리플 솔라나 에이다 이더리움을 전략적 자산으로 비축한다는 글을 올렸습니다. 등락을 반복하고 있지만 ,투자를 긴 호흡으로 멀리 본다면 이더리움은 매집하기 좋은 가격이고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투자처라고 생각합니다.
✅ 4. M2 통화량 증가 & 거시경제적 요인
- 글로벌 유동성이 증가하면 자산 시장이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음.
- M2 통화량 증가 시, 주식 및 암호화폐 시장으로 자본이 이동할 가능성이 큽니다. 코인의 경우 현재 유동성으로 움직이는 시장으로 봐도 무방합니다. 이더리움이 1500만원 이상 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
🔹 2025년 이더리움 가격 하락 요인
❌ 1. 규제 리스크
- 각국 정부의 암호화폐 규제 강화 가능성 존재.
- 미국 증권거래위원회(SEC)가 이더리움을 증권으로 규정할 경우, 가격 하락 요인이 될 수 있음.
❌ 2. 비트코인 대비 낮은 시장 점유율
- 여전히 비트코인이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.
- 비트코인 강세장이 와도, 자금이 비트코인으로만 몰릴 가능성 존재.
❌ 3. 경쟁 블록체인 프로젝트 등장
- 솔라나(SOL), 폴리곤(MATIC), 애벌랜치(AVAX) 등 경쟁 플랫폼의 성장이 위협 요인.
- 만약 더 빠르고 저렴한 거래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등장하면, 이더리움의 점유율이 감소할 수 있음.
❌ 4. 거시경제적 악재
- 미국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경우, 위험자산(암호화폐 포함) 시장에 부정적 영향 가능성.
- 경기 침체 발생 시, 투자 심리가 위축될 수 있음.
📌 결론
이더리움이 2025년에 1,500만 원을 달성할 가능성은 충분하지만, 규제 리스크 및 거시경제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. ETF 승인, 기관 투자 증가, 네트워크 업그레이드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, M2 통화량 증가도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. 다만, 경쟁 블록체인의 성장과 규제 이슈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.
✅ 투자 전략: 국장은 떠나는게 답이다. 라고 말했을때 삼성전자를 매수한 사람들은 돈을 벌었습니다. 비트코인 망했다 끝났다 라는 말이 돌때 매수한 사람은 돈을 벌었습니다. 주식은 미장이다 라고 했을때 많은 분들이 올해 초 미국주식을 매수했지만 폭락했습니다. 투자 전략은 유망한 종목을 모니터링 하면서 망했다 라고 했을때부터 분할매수 하면 돈을 버는것 같습니다.